이년 추칠월 납다물후송양지여위비 구월 서수획백장 동십월 신작집왕정 백제시조온조입
二年 秋七月 納多勿侯松讓之女爲妃 九月 西狩獲白獐 冬十月 神雀集王庭 百濟始祖溫祚立
유리왕 2년 가을 7월이다. 다물에서 납품을 하니까 제후가 송양에 여자면 왕비로 간주하였다. 9월이다. 서수지에서 백장을 획득하였다. 겨울 10월이다. 왕정에 신작이 모여들었다. 백제 시조 온조왕이 입장한다.
삼년 추칠 작이궁어골천 동십월 왕비송씨훙 왕갱취이여이계실 일왈화희 골천인지여야 일왈치희 한인지여야 이여쟁총 불상화 왕어양곡조동서이궁 각치지
三年 秋七 作離宮於鶻川 冬十月 王妃松氏薨 王更娶二女以繼室 一曰禾姬 鶻川人之女也 一曰雉姬 漢人之女也 二女爭寵 不相和 王於涼谷造東西二宮 各置之
유리왕 3년 가을 7월이다. 골천에 이궁을 건설하였다. 겨울 10월이다. 왕비 송씨가 사망하였다. 임금이 계실 있는 여자 2명을 취하였는데 한명은 화희요. 골천 사람에 여자다. 한명은 치희요. 한인에 여자다. 두명은 말다툼을 할수록 사랑이 생겨서 화합이 안 될 지경이었다. 임금은 양곡 궁실을 동서로 나뉘어 건설하였고 예산도 나눴다.
후 왕전어기산 칠일불반 이여쟁투 화희매치희왈 여한가비첩 하무예지심호 치희참한망귀 왕문지 책마추지 치희노불환 왕상식수하 견황조비집 내감이가왈 편편황조 자웅상의 념아지독 수기여귀
後 王田於箕山 七日不返 二女爭鬪 禾姬罵雉姬曰 汝漢家婢妾 何無禮之甚乎 雉姬慙恨亡歸 王聞之 策馬追之 雉姬怒不還 王嘗息樹下 見黃鳥飛集 乃感而歌曰 翩翩黃鳥 雌雄相依 念我之獨 誰其與歸
후일이다. 임금이 기산 둔전지로 가는데 7일동안 돌아오지를 않는다. 여자 2명은 쌈박질을 하였다. 끝내 화희가 치희에게 욕설을 퍼붓는다. ‘중국인 가족 노예 첩년이면 심각할 예절도 없다는 게 뭐더냐?’ 치희는 사랑이 사망한 부끄러움에 귀가하였다. 임금이 듣는다. 말을 보채서 추격을 한다. 치희는 분노가 아니면 돌아갈 꺼다고 하였다. 임금이 수하에서 숨쉬기를 한다. 황조가 비행할 때 집중하는 것을 보고는 감성을 혼자말 한다.
비행하는 황조 보니까
암컷 황조와 수컷 황조가 날개를 펴 의지한다
새 몸을 홀로 생각해보니
목적지를 향해 짝에게로 가네
십일년 하사월 왕위군신왈
十一年 夏四月 王謂群臣曰
유리왕 11년 여름 4월이다. 임금이 군신들 앞에서 취지가 있다
선비시험 불아화친 이칙출초 불이칙입수 위국지환 약유인능절차자 아장중상지 부분노진왈 선비험고지국 인용이우 난이력투 이이모굴
鮮卑恃險 不我和親 利則出抄 不利則入守 爲國之患 若有人能折此者 我將重賞之 扶芬奴進曰 鮮卑險固之國 人勇而愚 難以力鬪 易以謀屈
선비족 땅은 험하다고 믿으니 험하지 않으면 고구려와 화친을 하려고 하는데 이익이 발생하면 약탈을 목적으로 출정을 한다. 이익이 발생안하면 입국한 채로 방어전을 취하니까 국가에 근심이다. 선비족을 제압 잘하는 자여 상에서도 중상을 지급할 것이다. 부분이 노비와 함께 말한다. 선비국은 험하다는 곳에는 방어전을 한다. 그러니 용감해질수록 공방전에서 착각을 하는 바, 힘으로써 제압을 못한다. 쉽게 모략이 필요하다.
왕왈 연칙위지나하 답왈 의사인반간입피 위설 아국소이병약 겁이난동 칙선비필이아 불위지비 신사기극 솔정병종간로 의산림이망기성
王曰 然則爲之奈何 答曰 宜使人反間入彼 僞說 我國小而兵弱 怯而難動 則鮮卑必易我 不爲之備 臣俟其隙 率精兵從間路 依山林以望其城
임금이 말한다. 선비국을 침략할 모략이 있기는 한가? 대답은 이러하다. 사신을 우선 잠입을 시켜서 속여야 하는데 고구려는 소국이나 병사가 미약하고 겁도 있어서 힘들게 움직이니 선비국 칙서라면 고구려를 쉽게 다스릴지다. 고구려는 준비조차 안되어 있으니까 선비국 신하들은 잠시 기다리세요. 정병을 통솔로 종간로에 진입하고 산림에 매복하고 선비국 성문을 바라보시면 됩니다.
왕사이리병출기성남 피필공성이원추지 신이정병주입기성 왕친솔용기협격지 칙가극의
王使以羸兵出其城南 彼必空城而遠追之 臣以精兵走入其城 王親率勇騎挾擊之 則可克矣
임금은 사신과 함께 허약한 병사와 성남으로 출병하시면 선비국 병사들이 빈성 전략을 취해서 멀어질 때 추격하시면 되요. 신하들은 정예병사들을 가용해서 빈성에 입주할테니 임금은 몸소 기병과 용병을 통솔하시어 협지 전장으로 부딪혀 가신다면 이길 것입니다.
왕종지 선비과개문출병추지 부분노장병주입기성 선비망지 대경환분 부분노당관거전 참살심다
王從之 鮮卑果開門出兵追之 扶芬奴將兵走入其城 鮮卑望之 大驚還奔 扶芬奴當關拒戰 斬殺甚多
임금이 퇴각을 하니 선비국 군사들이 개문을 한 채로 출병과 함께 추격을 하였다. 부분은 노비와 장병과 함께 빈성에 입주하였고 선비 군대를 바라보니 성 수색에서 돌아오니 성공한 것이다. 이에 부분과 노비는 관거전을 소탕하고 있었고 엄청 많이도 죽인 모양이다.
왕거기명고이전 선비수미수적 계궁력굴 항위속국 왕념부분노공 상이식읍 사왈 차왕지덕야 신하공언 수불수 왕내사황금삼십근 양마일십필
王擧旗鳴鼓而前 鮮卑首尾受敵 計窮力屈 降爲屬國 王念扶芬奴功 賞以食邑 辭曰 此王之德也 臣何功焉 遂不受 王乃賜黃金三十斤 良馬一十匹
임금은 기명고를 울려라며 전진하는데 선비 군사들이 앞에서는 뒤에서와 같이 싸움질이다. 전략이 먹혔으니 힘쓰기가 빠진다. 항복해오니 연속국으로 하였다. 임금은 부분에 있는 노비 공적을 기념해야 해서 식읍을 상찬하였다. 사견이다. 임금님 덕이 있어서 신하가 존재하는 공로입니다는 것이다. 상을 안받으려고 하니까 황금 30근과 준마10필을 하사한 것이다.
십삼년 춘정월 형혹수심성
十三年 春正月 熒惑守心星
유리왕 13년 봄 정월이다. 심성 궤도로 형혹이 들어왔다.
십사년 춘정월 부여왕대소견사래빙 청교질자 왕탄부여강대 욕이태자도체위질 도체공불행대소에지 동십일월 대소이병오만래침 대설인다동사 내거
十四年 春正月 扶餘王帶素遣使來聘 請交質子 王憚扶餘强大 欲以太子都切爲質 都切恐不行帶素恚之 冬十一月 帶素以兵五萬來侵 大雪人多凍死 乃去
유리왕 14년 봄 정월이다. 부여왕 대소는 사신과 함께 방문하였는데 교역하기, 포로교환을 요청하였다. 임금은 부여가 강대한 것에 두려움을 주려고 태자이던 도체를 포로취급을 하였다. 도체가 두려워하지를 않으니까 대소가 화를 낸 것이다. 겨울 11월이다. 부여왕 대소는 장병 5만 군사로 침입을 하였는데 대설로 인하여 동상자들이 많이 사망하니 퇴각을 했다.
십구년 추팔월 교시일 왕사탁리 사비추지 지장옥택중득지 이도단기각근 왕문지노왈 제천지생 개가상야 수투이인갱중살지 구월 왕질병 무왈 탁리 사비위수 왕사사지 즉유
十九年 秋八月 郊豕逸 王使託利 斯卑追之 至長屋澤中得之 以刀斷其脚筋 王聞之怒曰 祭天之牲 豈可傷也 遂投二人坑中殺之 九月 王疾病 巫曰 託利 斯卑爲祟 王使謝之 卽愈
유리왕 19년 가을 8월이다. 국경에 돼지가 달아났다. 임금은 사신 탁리와 사비에게 추격하라고 하였고, 장옥택에 도착하니까 돼지를 습득하였다. 이에 돼지 다리를 절단 내부렸으니 임금이 듣자 호통을 쳤다는 것은 이러하다. 제천의식에 사용할 제물이 어떡해 상처로 존재하냐. 웅덩이에 2사람을 투신시키고 사살을 하여라. 9월이다. 임금이 전염병에 걸렸다. 무당이 전하는 뜻은 탁리와 사비에게 단서를 달아라. 그리고 임금에게 사죄를 하여라. 임금님이 쾌유하였다.
이십년 춘정월 태자도체졸
二十年 春正月 太子都切卒
유리왕 20년 봄 정월이다. 태자 도체가 사망하였다.
이십일년 춘삼월 교시일 왕명장생설지 축지 지국내위나암득지 구어국내인가 양지
二十一年 春三月 郊豕逸 王命掌牲薛支 逐之 至國內尉那巖得之 拘於國內人家 養之
유리왕 21년 봄 3월이다. 국경에 돼지가 달아났다. 임금은 장생과 설지에게 축출하여라고 명하였다. 국내부에서 위나암에 도착하니까 발견하였다. 이에 국내부에 있는 집집마다 사람들에게 돼지사냥을 하며 양육을 하여라고 하였다.
반견왕 왈 신축시 지국내위나암 견기산수심험 지의오곡 우다미록어별지산 왕약이도 칙불유민리지무궁
返見王 曰 臣逐豕 至國內尉那巖 見其山水深險 地宜五穀 又多麋鹿魚鼈之産 王若移都 則不唯民利之無窮
돌아오는 임금님을 보며 말한다. 신하는 돼지를 축출했어요. 국내부 위나암에 도착하니까 산수가 심험하게 보였는데 지기는 오곡을 배출하는 형세였어요. 사슴 고기 자라들이 많이도 출생을 했고요. 임금님 수도이전을 하신다면 백성이 아니더라도 이익은 무궁하다는 것을 본떠야 합니다.
우가면병혁지환야 하사월 왕전우위중림 추팔월 지진 구월 왕여국내 관지세 환지사물택 견일장부좌택상석 위왕왈 원위왕신 왕희허지 인사명사물 성위씨
又可免兵革之患也 夏四月 王田于尉中林 秋八月 地震 九月 王如國內 觀地勢 還至沙勿澤 見一丈夫坐澤上石 謂王曰 願爲王臣 王喜許之 因賜名沙勿 姓位氏
또 군사들 군복입히는 걱정도 사면해야 합니다. 여름 4월이다. 임금님이 위중림에 둔전보러 가셨다. 가을 8월이다. 지진이 났다. 9월이다. 임금이 국내에서 지세를 보시고는 사물택을 갔다 오기 따르라 하였다. 장부 좌택이 상석을 보고서 임금은 들으시오 하기를 원하는 것은 임금님 신하다고 하길래 임금은 그냥 허락해 주니까 명사물은 은덕이니 위씨 성에 근간이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