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연습 942b17║ 新花嚴經卷第十三 13권이다. 942b18║澄垽(上直陵反考聲水淸也下魚靳反爾雅曰澱謂之垽郭注云滓澱也江東呼垽) 징은. 직릉을 반절하였고, 맑은 물상태다. 어근을 반절하였고, 이아에서 전하는 전은 은이니 곽박 주석에서도 재전이라고 한다. 강동 지역에서는 은이라 부른다. 은 .. 속일체경음의_2책 2018.11.10
한자 연습 942a02║ 新花嚴經卷第十二 12권이다. 942a03║祠祭(上似茲反爾雅曰春祭曰祠郭璞注祠之言[飢-几+人]也[飢-几+人]音似下子例反切韻亨薦也爾雅曰祭天曰燔柴祭地曰 942a04║ 塵埋論語曰祭神如神在說文祭字從月音肉從又音手從示音視謂手持肉以示卽爲祭矣經作祭非本字) 사제. 사자를 반.. 속일체경음의_2책 2018.11.09
한자 연습 941c04║ 新花嚴經卷第十一 11권이다. 941c05║衢路(上具于反爾雅曰四達謂之衢郭璞注云謂交道四出也下盧故反爾雅曰路旅途也郭璞注云途卽道) 구로. 구우를 반절하였다. 이아에서는 4회 숙달과정을 구라고 하였다. 곽박 주석에서는 사거리 교차현상이 출현한다는 것이다. 로고를 반절하.. 속일체경음의_2책 2018.11.07
한자 연습 941a08║ 新花嚴經卷第九 9권이다. 941a11║湧浪(上容悚反說文云勇亦騰起也從水勇聲也亦作涌下來宕反切韻云浪亦波也說文云從水朗省聲) 용랑. 용송을 반절하고 설문에서 용이랑 등기우편이다. 용은 수용(水勇)합방어다. 용이 용을 제작하니까 용용(湧涌)이다. 내탕을 반절하고 절운에.. 속일체경음의_2책 2018.11.06
한자 연습 940c20║ 新花嚴經卷第八 8권이다. 940c22║[■/匆/心]翠(上倉紅反下七醉反上合作總字靑黃色[■/匆/心][■/公/心]乃葷菜也說文云翠靑羽雀也今言總翠謂雜色晃曜也非是 940c23║ [■/匆/心]菜之翠也) 취. 창홍을 반절하고 취칠을 반절하는데 상합작용으로 생겨난 글자다. 청색 황색빛을 뗀.. 속일체경음의_2책 2018.11.04
한자 연습 940c12║鴛鴦(上於袁反下於薑反毛詩曰鴛鴦干飛傳曰鴛鴦疋鳥也言其止爲疋偶飛則雙飛說文從夗央皆形聲 940c13║ 字也) 원앙. 어원을 반절하고 어강을 반절하고 모시에서 전하길 원앙이란 간비다 비소다고 하였다. 간비와 비소에서 지위라는 게 비소가 뜻하지 않으면 쌍비라는 거다. 설문.. 속일체경음의_2책 2018.11.04
한자 연습 940a12║ 新花嚴經卷第五 5권이다. 940a13║鹹味(上遐巖反尙書洪範云潤下作鹹尒雅曰鹹苦也說文云北方味也 從鹵咸聲也 經文從酉作[酉*咸]非也) 함미. 하암을 반절하고서 상서에 홍범조가 전해주는데 윤(潤)이 함(鹹)을 제작하였다. 이아가 증명하는 함이란 고다. 설문지 소재지 북방에서.. 속일체경음의_2책 2018.11.02
한자 연습 939c17║ 新花嚴經卷第四 4권이다. 939c18║赫奕(上亨格反尒雅曰赫赫迅也郭璞曰威疾[白/儿]也方言赫發也廣雅赫明也說文大赤[白/儿]從二赤下羊益反或從 939c19║ 大作奕毛詩傳曰奕災大[白/儿]也說文云從火亦聲經文從廾作弈亦通廾音拱也) 혁혁. 형격을 반절하고 이아에서 전하는데 혁혁.. 속일체경음의_2책 2018.10.28
한자 연습 939c11║ 新花嚴經卷第三 3권이다. 939c12║頻申(上甁寅反毛詩傳曰頻急也申舒也謂以手足胸背左右上下或急蹙或舒展自解其勞倦也) 빈신. 병인을 반절하고 모시에서 전하는 데 빈이란 급하다는 거다. 신은 펼치기. 수족에서 흉배좌우상하를 통칭하여 급속 빈축이 있고, 스스로 분석하기.. 속일체경음의_2책 2018.10.27
한자 연습 939b11║ 新花嚴經卷第二 2권 939b12║違諍(上雨非反字書云背也亦逆也說文離也從[足-口+(彰-章)]韋聲韋字從舛從口上下相背之形舛音喘口音韋走音丑略 939b13║ 反下側迸反說文諫止也從言爭聲也爭音同上) 위쟁. 우비를 반절하고서 글자쓰기에서는 배역이라고 전한다. 설문이 끊었다. 위.. 속일체경음의_2책 2018.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