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연습 고전번역원. 글쓴이 장희성 과실을 부끄러워하면 잘못이 되고 과실을 오래 두면 악이 되네 恥過作非 過久成惡 치과작비 과구성악 - 이언적(李彦適, 1491~1553), 『회재집(晦齋集)』 권6 「원조오잠(元朝五箴) 개과잠(改過箴)」 챙피함을 지나쳐서 아니라고 우겨대니까 지나침이 농축해져 정.. 사자성어 2018.02.06
한자 연습 [고전명구 329] 공부하라, 아이가 어미를 찾듯이 한국고전번역원 손성필 공부하라, 아이가 어미를 찾듯이간절한 마음으로 공부하라. 닭이 알을 품고 고양이가 쥐를 노리듯이, 굶주린 자 밥을 찾고 목마른 자 물을 찾듯이, 어린 아이가 어미를 찾듯이. 切心做工夫, 如雞抱卵, 如猫捕.. 사자성어 2018.01.08
한자 연습 고전명언-185 可以取며, 可以取며, 可以無取에, 取면, 傷廉이라. ◆ [독음] - 可以取, 可以無取, 取傷廉. ◆ [한자] - 가할 가/ 써 이/ 취할 취// 가할 가/ 써 이/ 없을 무/ 취할 취// 취할 취/ 상할 상/ 청렴할 렴 ▶ [출전] - 『孟子(맹자)』 《離婁章句下(이루장구하)》 ◈ [해석] - 얼핏 보면 가질.. 사자성어 2017.12.31
한자 연습 자기의 허물만 보고 남의 허물은 보지 않는 이는 군자이고, 남의 허물만 보고 자기의 허물은 보지 않는 이는 소인이다. 見己之過。不見人之過。君子也。 견기지과。불견인지과。군자야。 見人之過。不見己之過。小人也。 견인지과。불견기지과。소인야。 - 신흠(申欽, 1566~1628), 『상촌.. 사자성어 2017.12.29
한자연습 역사가의 가장 중요한 원칙은 계통을 밝히고, 찬역을 엄히 하고, 시비를 바로잡고, 충절을 포양하고, 전장을 자세히 하는 것이다. 史家大法, 明統系也, 嚴簒逆也, 正是非也, 褒忠節也, 詳典章也. 사가대법, 명통계야, 엄찬역야, 정시비야, 포충절야, 상전장야. - 안정복(安鼎福, 1712∼1791), 『.. 사자성어 2017.12.28
한자 연습 간발이즐[簡髮而櫛] 머리터럭을 한올씩 빗는다는 뜻의 사자성어. 簡 : 대쪽 간 髮 : 머리털 발 而 : 말이을 이 櫛 : 빗 즐 매우 신중하게 처리함이 지나쳐 머리터럭을 한올씩 빗는 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즉 불필요한 일에 정성을 쏟는다는 의미이다. 출처 : 두산백과(http://www.doopedia.co.kr/do.. 사자성어 2017.12.16
한자 연습 호중천지 壺中天地 [병 호/가운데 중/하늘 천/땅 지] ☞항아리 속의 하늘이라는 뜻으로, 별천지(別天地)·별세계·선경(仙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또는 술에 취하여 세속을 잊어버리는 즐거움이나 장소가 극히 협소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출처 : 전주향교. 두산백과 박용만. 출전이 .. 사자성어 2017.12.16
한자 연습 혜전탈우 蹊田奪牛[지름길 혜/밭 전/빼앗을 탈/소 우] ☞남의 소가 내 밭을 짓밟았다고 그 소를 빼앗음. 가벼운 죄에 대한 처벌이 혹독함. 출처 : 전주향교 (http://jjhyanggyo.or.kr/sub6/sub512/?method=view&no=24087&page=1) 지름길에 밭을 내니까 소를 뜯겼다는 거임. 가벼운 죄를 조종할 수 있다는 용어가.. 사자성어 2017.12.14
한자 연습 제 2 장 한역가 根深之木 風亦不兀 有灼其華 有 其實 근심지목 풍역불올 유작기화 유분기실 源遠之水 旱亦不竭 有斯爲川 于海必達 원원지수 한역불갈 유사위천 우해필달 정리 형식 2절 4구 성격 송축가(개국송) 주제 조선 왕조의 운명 명칭 근심장(根深章) 전문 풀이 뿌리가 깊은 나무는.. 사자성어 2017.12.11
한자 연습 前事之不忘은 後事之師니라. 전사지불망은 후사지사니라. ◆ [한자] - 앞 전/ 일 사/ 어조사 지/ 아니 불/ 잊을 망// 뒤 후/ 일 사/ 어조사 지/ 스승 사 ▶ [출전] - 『戰國策(전국책)』, 『史記(사기)』 『後漢書(후한서)』등 ◈ [해석] - 지난 일을 잊지 않는 것은 뒷일의 스승이 된다. ▶ [어구.. 사자성어 2017.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