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자병법

한자 연습

영문이 2019. 3. 29. 22:05

孫子兵法作戰篇第二

손자병법 작전편 2

 

作戰篇

작전편

 

孫子曰凡用兵之法馳車千駟革車千乘帶甲十萬千里饋糧則內外之費

賓客之用膠漆之材車甲之奉日費千金然后十萬之師

손자왈: 범용병지법치거천사혁거천승대갑십만천리궤량칙내외지비

빈객지용교칠지재거갑지봉일비천금연후10만지사의

손자가 말한다 : 용병사용하기는 기마병은 14비율로 혁신기병 1천은 전승행진 기갑 10만양갑설은 천리마다 1번씩 내외를 군비로 소비하기. 빈객이 소비하거나 나전칠기 소재는 기갑에서 1등 재료니 하루 소비가 1천금을 사용하고나서야 10만 장교도 쓸모없음

其用戰也貴勝久則鈍兵挫銳攻城則力屈久暴師則國用不足夫鈍兵挫銳屈力

기용전야귀승구칙둔병좌예공성칙력굴구포사칙국용부족부둔병좌예굴력화

전쟁에 쓰려니까 귀가에만 뛰어나고 오랫동안은 둔전병은 좌예라 하였어. 공성전에서는 힘을 굽히니까 표절교수들을 사용하는 나라에서는 병력이 부족하여서 괜히 둔전병을 좌예하려고 하고 굴복에서는 세금만을 쓰고. 좌예挫銳 : 자리뺏기와 도금하기란 잘난척 하는 표절행위.

則諸侯乘其弊而起雖有智者不能善其后矣故兵聞拙速未睹巧之久也

칙제후승기폐이기수유지자불능선기후의고병문졸속미도교지구야

제후에게는 승법은 폐지하고 기법만이 존재하는데 지혜로운 자들도 선후지사를 잘하지를 못한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유병언이 경청엔 졸속을 하였고 도교도 아닌 것을 오랫동안 기다리는 것이다.

夫兵久而國利者未之有也故不盡知用兵之害者則不能盡知用兵之利也

부병구이국리자미지유야고부진지용병지해자칙부능진지용병지리야

방위산업은 오래되지않아서 나라에 이득을 실현하는 자는 아직 존재를 하지 않았다. 오랫동안 이부진이 안다는 용병을 해치는 자들이 해친다는 뻥으로 노조에게 이득을 안겨다 줄 뿐이다.

善用兵者役不再籍糧不三載取用于國因糧于敵故軍食可足也

선용병자역부재적양부삼재 ;취용우국인량우적고군식가족야

용병을 선하게 쓰려니까 책하고는 담을 쌓아야 하거늘 다음으로 쫄쫄 굶어야 한다니 ; 취국에 사용되어야 하기에 양식도 원적들에게 넘어가서다. 그리하여 군수보급품을 다시 썼다.

國之貧于師者遠輸遠輸則百姓貧近師者貴賣貴賣則百姓竭財竭則急於丘役力屈▣,中原

국지빈우사자원수원수칙백성빈. 근사자귀매귀매칙백성갈재갈칙급어구역력굴중원

가난한 나라에 있을 스승은 운송이 멀기에 백성도 가난하다. 근사자는 매매하고, 매매법은 백성이 고갈하니 백성이 없으니까 급하게 생겨난 것이 구역나누기다. 돈황굴중원이다.

內虛于家百姓之費十去其七公家之費破軍罷馬甲冑矢弩戟盾蔽櫓丘牛大車十去其六

내허우가백성지비십거지칠 ;공가지비 :파군파마갑주시노극순폐로구우대거십거지육.

빈집들어가기, 백성 소비하기, 10회에서 7번 떠나기. 세금 쓰기. 기마군 분쇄하기. 기갑 갑옷 화살 노병무기 창 방패 덮기와 키 젖기 군수전리품을 언덕만한 수레에 쌓기를 10회에 6번하기.

故智將務食于敵食敵一鐘當吾二十鐘;○杆一石當吾二十石

고지장무사우적식적일종당오20; 간일석당오20

오랜 전략가는 밥싸움으로 적을 상대하였으니 원수 상대하기를 종1회치기고 자신은 20종치기를 대적하였다. 쓰러진 돌조각에는 20돌조각을 쌓아올린다.

故殺敵者怒也取敵之利者貨也故車戰得車十乘已上賞其先得者而更其旌旗

고살적자노야 ;취적지리자화야고거전득거십승이상상기선득자이갱기정기

원수를 살인하는 오랜방법은 분노요. 원수를 캐치하는 이득실현자는 재물이요. 이러한 거병전쟁은 십상시가 거병을 재현하자 임금이 탈락하는 것이니 상맛좀 본자가 먼저 실현하려니까 다시 깃발부대가 재림을 하는데

車雜而乘之卒善而養之是謂勝敵而益强故兵貴勝不貴久

거잡이승지졸선이양지시위승적이익강고병귀승부귀구

군선은 섞인채 승선하려니까 군사 양육은 되지 않아서 1등국가 실적은 따라가지를 못한다. 귀신병사가 하는 승리는 못 따라간다.

故知兵之將民之司命國家安危之主也

고지병지장민지사명국가안위지주야

그리하여 지병으로 인하여 장차 백성들도 사명다하기를 국가안위에서 주부노릇을 하려든다.

 


'손자병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자 연습  (0) 2019.04.21
한자 연습  (0) 2019.04.14
한자 연습  (0) 2019.04.10
한자 연습  (0) 2019.03.31
한자 연습  (0) 2019.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