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자병법

한자 연습

영문이 2019. 4. 14. 20:58

孫子兵法勢篇第五

손자병법 제5 세편

 

勢篇

세편

 

孫子曰凡治衆如治寡分數是也斗衆如斗寡形名是也三軍之衆可使必受敵而無敗奇正是也兵之所加如以投卵者虛實是也

손자왈 : 범치중여치과분수시야 : 두중여두과형명시야 : 3군지중가사필수적이무패기정시야 : 병지소가여이투란자허실시야

손자가 말한다 : 치사한 동조자 합치기를 치과에 맡기니 치과병원이 는다. 외교인들을 어학원에 맡기니 학원이 는다. 3군을 이끌어갈 대중은 닌자를 쓰니 원수를 사랑하여서 실패하자 기정전투라 한다. 늘어난 병력에서 투항하는 자가 있으니 실세들에게 힘을 못쓰게 하지.

 

凡戰者以正合以奇勝故善出奇者無窮如天地不竭如江河終而復始日月是也

범전자이정합이기승고선출기자무궁여천지부갈여강하종이복시일월시야

세상에 있을 모든 전쟁에서는 정밀한 오합이라서 기병으로만 승부를 보려는 거지. 이에 먼저 출병한 기병은 하늘을 따라 소실하고 없어지고, 강하전투처럼 수군이 아니어도 고갈하니 전쟁이란 종결을 하여도 처음처럼 되돌아와서는 낮에든 밤에든 자동이다.

死而復生四時是也聲不過五五聲之變不可勝聽也色不過五五色之變不可勝觀也

사이복생사시시야성부과오오성지변부가승청야색부과오오색지변부가승관야

시체는 주검에서 탄생하는 것도 4계절에서도 연동한다. 소리는 5번을 넘치지 않으며 5성이 변해야만이 경청을 수집한 정도에는 못미친다. 색상도 5가지를 넘지 않아서 5색이 변하면 승부 투기꾼이 투기하는 수효에도 못미친다.

味不過五五味之變不可勝嘗也戰勢不過奇正奇正之變不可勝窮之也

미부과오오미지변부가승상야전세부과기정기정지변부가승궁지야

맛도 5맛을 잊지 않아서 5맛이 변하자 미식가 수집에 목표치를 갖추지 못하였다. 전쟁세력은 아니나 지나친 기병을 갖추었는데 기병전투현장이 변하였다. 궁술사 양성을 하여도 제실력을 내질 못한다.

奇正相生如環之無端孰能窮之

기정상생여환지무단숙능궁지?

정예기병은 서로 생존하는데 진실이 없어서 돌고도는 악순환은 궁술사 잘하는 분은 누구?

激水之疾至于漂石者勢也;▣鳥之疾至于毁折者節也是故善戰者其勢險其節短勢如節如發機

격수지질지우표석자세야 : 조지질지우훼절자절야시고선전자기세험기절단세여노절여발기

수군전쟁에서 괴질병이 표적지로 향하자 세력으로 본다. 조류독감이 변절자로 향하자 절도사로 본다. 이런 전통이 스라린 선전자는 시력이 체험하고 표절로 얼룩진 절도사는 세력이 노병이 젖는 노조차도 안된다. 절도사가 나라 선발에 발기를 하더니

紛紛▣▣,斗亂而不可亂也渾渾沌沌形円而不可敗也

분분발발두난이불가난야혼혼돈돈형원이불가패야

어지러운 난세평정이 목적이라서 난세횟수는 난세라 할 정도가 아니다. 흐림과 어둠 사이에서는 원탁 모형을 식탁이라 하지 않는다.

亂生于治怯生于勇弱生于强治亂數也勇怯勢也强弱形也

난생우치겁생우용약생우강치란삭야 : 용겁세야 ;강약형야

어지러운 정당은 처용이를 겁낸다. 만약이가 강을 권하면 정당이 만들어내는 어지러움이 세력이다.

정당을 창당하는 것이 만약이라면 모양새가 그렇다.

故善動敵者形之敵必從之予之敵必取之以利動之以卒動之

고선동적자형지적필종지 ; 여지적필취지이리동지이졸동지.

예부터 원수를 선동해온 건 그 꼴이 원수 내쫓기였으니 나도 원수에서 취합하는 게 이득에서 요동을 치니까 사병들도 따라한다.

故善戰者求之于勢不責于人故能擇人而任勢任勢者其戰人也

고선전자구지우세부책우인고능택인이임세임세자기존인야

전쟁 홍보범들아 세상 세력들을 구급하려거든 사람에게 책임떠넘기지는 않을게. 오랫동안 선발하고 임용하는데 허점이 있어서 임세를 하였다. 임시세력이란 자들은 쌈질만 복사하였다.

如轉木石木石之性安則靜危則動方則止円則行故善戰人之勢

여전목석목석지성안칙정위칙동방칙지원칙행고선전인지세

전쟁하기를 목석과 같이 하다간 목석이 갖는 성품이 도래한다. 안녕이 청정에게 위험이 요동에게 방법은 정지에게 원리는 수행에게 라는 패턴들은 전쟁홍보범들이 오랫동안 갖고온 정수다.

如轉円石于千之山者勢也

여전원석우우목지산자세야

전쟁이론이라는 게 돌같이 하다가 나무처럼 하는 산투성이가 허자세력이다.


'손자병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자 연습  (0) 2019.04.23
한자 연습  (0) 2019.04.21
한자 연습  (0) 2019.04.10
한자 연습  (0) 2019.03.31
한자 연습  (0) 2019.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