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사기 고구려본기(2) 3

한자 연습

삼국사기권제십칠 고구려본기제오[동천왕 중천왕 서천왕 봉상왕 미천왕] 三國史記卷第十七 高句麗本紀第五[東川王 中川王 西川王 烽上王 美川王] 삼국사기 17권 고구려 본기 5번째 동천왕 중천왕 서천왕 봉상왕 마천왕이다. 동천왕[혹운동양] 휘우위거 소명교체 산상왕지자 모주통촌인 입위산상소후 사실기족성 전왕십칠년 입위태자 지시사위 왕성관인 왕후욕시왕심 후왕출유 사인절왕로마렵 왕환왈 마무렵가연 우령시자진사시 양복갱어왕의 역불노 東川王[或云東襄] 諱憂位居 少名郊彘 山上王之子 母酒桶村人 入爲山上小后 史失其族姓 前王十七年 立爲太子 至是嗣位 王性寬仁 王后欲試王心 候王出遊 使人截王路馬鬣 王還曰 馬無鬣可憐 又令侍者進食時 陽覆羹於王衣 亦不怒 동천왕은 (동양으로도 존재하는데) 우위거다. 교체를 자주 사용하는데 산상왕에 자식이다. ..

한자 연습

산상왕 휘연우[일명위궁] 고국천왕지제야 山上王 諱延優[一名位宮] 故國川王之弟也 산상왕은 연우를 썼다. 또 다른 이름이 위궁이다. 고국천왕에서 동생이다. 위서운 주몽예손궁 생이개목능시 시위태조 금왕시태조증손 역생이시인 사증조궁 고구려호상사위위 魏書云 朱蒙裔孫宮 生而開目能視 是爲太祖 今王是太祖曾孫 亦生而視人 似曾祖宮 高句麗呼相似爲位 위서에서 전한다. 주몽에게 손주 손궁은 출생을 안해도 눈을 떠서 잘도 쳐다보셨으니 태조까지 보았다. 지금 임금이신 태조는 일찍부터 손주가 필요하였는데 출현만 하면 사람쳐다보는 게 일상이니까 일찍부터 조상님 쳐다보는 걸 닮은 꼴인 것은 고구려인 것이니 서로쳐다보는 행위를 위로 본 것이다. 고명위궁운 고국천왕무자 고연우사입 故名位宮云 故國川王無子 故延優嗣立 위궁이란 고명도 고국천왕에..

한자 연습

위왈 고도승선업 처신민지상 덕박재단 미제어이 선생장용회명 궁처초택자구의 謂曰 孤叨承先業 處臣民之上 德薄才短 未濟於理 先生藏用晦明 窮處草澤者久矣 하명을 받으라. 외로움에 선업을 계승하는 것이 함부로 해온바 임금에서는 신민에 머문다. 이에 왕덕이 얇고 재능이 쓸모 없어지자 제도권을 평정하지를 못하였으니 을파소 선생이라면 회명을 품으셨기에 오래도록 초택 거주를 전담하셨습니다. 금불아기 번연이래 비독고지희행 사직생민지복야 청안승교 공기진심 파소의수허국 위소수직불족이제사 今不我棄 幡然而來 非獨孤之喜幸 社稷生民之福也 請安承敎 公其盡心 巴素意雖許國 謂所受職不足以濟事 지금 을파소 선생을 뽑지 않으면 장애물이 상시주둔하는데 혼자 된 외로움이 아니면 희생하는 행복일 것이니 사직에서는 출생하는 백성에 존재하는 복입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