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孫子兵法》行軍篇第九
손자병법 행군편 제9
行軍篇
행군편
孫子曰:凡處軍,相敵,絶山依谷,視生處高,戰隆無登,此處山之軍也.
손자왈 : 범처군,상적,절산의곡,시생처고,전륭무등,차처산지군야,
손자가 말한다. 모든 군대가 있기로는 대적보기니 산이 끊겨서 골짜기에 의지하고, 부대출현을 보자니 높게만 살아서 전쟁 얘기만 높아서 등록이 없어져 산악부대만을 본다.
絶水必遠水;客絶水而來,勿迎之于水內,令半濟而擊之,
절수필원수 : 객절수이래,물영지우수내,령반제이격지,
수급원이 끊기면 대적 물을 끌어다쓰니 부대구성원이 끊겨도 수급원은 생겨난다. 기우제라도 지내려고 하니까 멈추라고 하는데 하천에서는 도하자와 추격자사이에 흑군 백군이라 한다.
利;欲戰者,無附于水而迎客;視生處高,無迎水流,此處水上之軍也.
리 : 욕전자,무부우수이영객 : 시생처고,무영수유,차처수상지군야,
이득이다 : 전쟁하려는 자 부대도 없이 물에가서는 상선을 맞이하고 산악부대를 보려니까 없으니 수유를 영접을 하고서 나야말로 수군에서 일등부대라 자랑질한다.
絶斥澤,惟▣去無留;若交軍于斥澤之中,必依水草,而背衆樹,此處斥澤之軍也.
절척택,유부거무유 : 약교군우척택지중,필의수초,이배중수,차처척택지군야,
수군이 끊겨서 늪에서 물리쳤으니 생각에 잠기고, 부대가 거병하면 머뭄이 없다. 만약에 교전중인 군대가 승전을 알린 교전지가 늪이면 초원에서 기억은 부메랑으로 오고 등 뒤에서는 식목을 하려고 드니까 늪에서 이긴 전투니 늪부대라고 보는 거지.
平陸處易,而右背高,前死后生,此處平陸之軍也.凡此四軍之利,黃帝之所以勝四帝也.
평륙처역,이우배고,전사후생,차처평륙지군야,범차사군지리,황제지소이승사제야,
평지에서는 육손이 처지를 배역하였으니 늪에서 뭍사이였다. 앞 선 사망자 수는 임금님을 소환을 하였고, 육손이 통솔한 평평한 육지 군대다. 4군이 갖는 이득재현은 황제가 보는 CCTV에서도 황제 수가 넷 이라는 게 증명되었다.
凡軍好高而惡下,貴陽而▣陰,養生而處實,軍無百疾,是謂必勝.丘陵堤防,
범군호고이악하,귀양이사음,양생이처실,군무백질,시위필승,구릉제방,
모든 군사야 높은 것 좋아하니까 아래로 생겨나는 증오심은 양이 귀해질수록 음이 아사해가니까 출생을 양육할수록 실체 존재하는 처치가 군 부대가 없으면 일백가지 병으로 인하여 반드시 이겨볼려고 추억을 다짐질하는데 언덕, 사릉, 제방은 다짐질하는 일대일 장소다.
必處其陽,而右背之.此兵之利,地之助也.
필처기양,이우배지,차병지리,지지조야,
꼭, 양지에서 살아야 하고 숭상도 해야 하는 병력이 갖는 이득은 지세가 주는 조바심이다.
上雨,水沫至,欲涉者,待其定也.
상우,수말지,욕섭자,대기정야,
빗방울은 떨어지고 물방울은 퍼져가는데 건너려는 자야 기정전투에서 이겨라.
凡地有絶澗,天井,天牢,天羅,天陷,天隙,必▣去之,勿近也.吾遠之,敵近之;吾迎之,敵背之.
범지유절간,천정,천뢰,천라,천함,천극,필천거지,물근야,오원지,적근지 :오영지,적배지
모든 땅에는 끊어진 계곡이 있는데 우물, 댐, 웅덩이, 연못들도 분명히 증발한다는 것이다. 가까움이 재앙이다. 멀어져가는 원수에게 가까워지기란 등뒤에서 칼빵이다.
軍旁有險阻,[huang2]井,▣葦,林木,○▣者,必謹愼復索之,此伏奸之所處也.
군방유험조,천정, 천위,림목,위목자,필근신부삭지,차부간지소처야,
군부대에서는 위험물이 늘 있어서 군용식수, 울타리, 군용목재라는 군 자원을 말할 것 같으면 근신할 것도 아닌데 동아줄이 꼬여진 관계로 인해서 간통죄에 처지로 인하여 숨었다.
敵近而靜者,恃其險也;遠而挑戰者,欲人之進也;其所居易者,利也.
적근이정자,시기험야 :원이도전자,욕인지진야 :기소거역자,리야,
전쟁에서 근접전이 조용하다고 하면 시중들기가 위험하고, 원수와의 거친 전쟁을 말할 거 같다면 사람이 후진을 하니까 가까운 자가 이득을 실현한다.
衆樹動者,來也;衆草多障者,疑也;鳥起者,伏也;獸駭者,覆也;塵高而銳者,
중수동자,래야 :중초다장자,의야 :조기자,복야 :수해자,복야 :진고이예자,
다이나믹한 나무가 들어오니 초원이가 가로막으려고 하여서 의심을 한다. 새처럼 날아드려니까 숨고, 발정난 동물이 복수혈전을 하기에 날카로운 미세먼지 쌓이더니
車來也;卑而廣者,徒來也;散而條達者,樵采也;少而往來者,營軍也.
거래야 :비이광자,도래야 :산이조달자,초채야 :소이왕래자,영군야,
수레가 온다. 넓지도 않은 것이 구성해서 온다. 산적한 걸 조달하기는 장작불 때우기와 같아서 왕래가 점점 줄어들수록 군 부대를 영신한다.
辭卑而備者,進也;辭强而進驅者,退也;輕車先出其側者,陣也;無約而請和者,
사비이비자,진야 :사강이진구자,퇴야 :경거선출기측자,진야 :무약이청화자,
사열을 낮춰서 소비하려는 자는 공진하고, 사열을 강하게 진압해서 몰고가려는 자는 퇴적하니 이런 현상이 경거다. 먼저 출사한 측면인은 대진이고 약정도 안하고 중화를 청약할 것 같다면
謀也;奔走而陳兵者,期也;半進半退者,誘也.
모야 :분주이진병자,기야 :반진반퇴자,유야,
모함이다. 진시황 병력으로 분주하게 할 것 같다면 약속이요 앞으로 걷기 한번 뒤로 걷기 한번을 할 것 같다면 꼬시다. 쯧쯧쯧
杖而立者,飢也;汲而先飮者,渴也;見利而不進者,勞也;鳥集者,虛也;夜呼者,
장이입자,기야 :급이선음자,갈야 :견리이부진자,노야 :조집자,허야 :야호자,
노인네가 짚는 지팡이는 힘줄음이요 급체용도로 마시는 음료는 갈등장애요 이득을 보고도 부진이로 정체할 것 같다면 노조요. 새처럼 모이려니까 빈집이요 밤이라고 말하려고 하니까
恐也;軍擾者,將不重也;旌旗動者,亂也;吏怒者,倦也;粟馬肉食,軍無懸缶而不返其舍者,
공야 :군요자,장부중야 :정기동자,난야 :리노자,권야 :속마육식,군무현부이부반기사자,
공포요. 요런 군인은 가벼운 장교니 깃발부대를 흔들게 하기가 어지럽다요. 공무원이 화내면 게으른 것인데 속마육식 생활에 중독되어서 장교 군무현이 건물로 회군을 안한다.
窮寇也;諄諄翕翕,徐與人言者,失衆也;數賞者,窘也;數罰者,困也;先暴而后畏其衆者,
궁구야 :순순흡흡,서여인언자,실중야 :수상자,군야 :수벌자,곤야 :선포이후외기중자,
도둑 소탕하거든. 타이르고 화합하기가 사람말에서 천천히 진행을 하기에 실수한 대중이. 상 받으면 막히고, 벌 받으면 미치겠고, 임금도 포복을 두려워한다며 먼저 실행할 것 같은 자들은
不精之至也;來委謝者,欲休息也.兵怒而相迎,久而不合,又不相去,必謹察之.
부정지지야 :래위사자,욕휴식야,병로이상영,구이부합,우부상거,필근찰지,
정밀감시를 안했지. 뇌물전담반이 꾸려지니 휴식을 하고파. 군부대 성질내기로 서로 떠넘기다가 오랫동안 합쳐지지가 않아서 서로 하기 싫어하는데 볼 치아가 있겠나
兵非貴益多也,惟無武進,足以幷力,料敵,取人而已.夫惟無慮而易敵者,必擒于人.
병비귀익다야,유무무진,족이병력,요적,취인이이,부유무려이역적자,필금우인,
병력도 아닌 것이 귀족신분이 갖는 이득에서 많다고 우겼다. 생각해보기. 무진년이 없다고 병력이 멈추겠는가. 상대방 생각에 등용도 실패하는데 아빠 뒈진 생각이 상대방 설득이 쉽지 않거든 생포자가 도망다닌다.
卒未親附而罰之,則不服,不服則難用也.卒已親附而罰不行,則不可用也.
졸미친부이벌지,칙부복,부복칙난용야,졸이친부이벌부행,칙부가용야,
미친 군부대에 빌붙은 죄는 군복바꾸기는 법도 아니라며 재난 법을 들쑤시고, 뒈진 군부대에 빌붙은 죄는 실행을 하지 않기에 법에서 가용을 막는다.
故令之以文,齊之以武,是謂必取.令素行以敎其民,
고령지이문,제지이무,시위필취,령소행이교기민,
고령소재 글자는 힘으로써 갖추는데 꼭 취합을 하기가 민방위대원에게 종사자가 늙어간다.
則民服;令素不行以敎其民,則民不服.令素行者,與衆相得也.
칙민복 :령소부행이교기민,칙민부복,령소행자,여중상득야,
법으로 백성 입히기는 민방위 대원에게는 옷을 입히지 않았으나 민방위 구성원은 위조지폐 농단에 휘말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