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孫子兵法》地形篇第十
손자병법 지형편 제10
地形篇
지형편
孫子曰:地形有通者,有▣者,有支者,有隘者,有險者,有遠者.
손자왈 :지형유통자,유공자,유지자,유애자,유험자,유원자,
손자가 말한다. 지형을 관통하는 자에서는 공적이 있거나 구역을 지탱하거나 좁은 채 기생하거나 위험한 걸 만지거나 멀리 내다보거나 하는 것들이다.
我可以往,彼可以來,曰通.通形者,先居高陽,利糧道,以戰則利.可以往,難以返,
아가이왕,피가이래,왈통,통형자,선거고양,이양도,이전칙리,가이왕,난이반,
추억에서 왕래해보니 가늠할 수준이었다면 왕통이다. 본뜨기가 대박났다. 고양에서 살아보니 광흥창 창고에서 이득 수혜를 보았다. 전쟁도 이득실현이 갖는 이익이라서 왕래할정도로 여겼으나 미개문명지에서는 되돌아왔다.
曰▣.▣形者,敵無備,出而勝之,敵若有備,出而不勝,則難以返,不利.
왈형,지형자,적무비,출이승지,적약유비,출이부승,칙난이반,불리,
모형을 말할 것 같으면, 지형이란 존재는 적이 준비를 안하여 출사를 할 시에는 승부에서 반은 먹히고, 적이 만약에 대비를 할 경우에는 출사를 하여도 승부한 게 아니라서 법칙이 어렵자 반격이 진행되니 이득이 있다는 것은 아니다.
我出而不利,彼出而不利,曰支.支形者,敵雖利我,我無出也,
아출이불리,피출이불리,왈지,지형자,적수리아,아무출야,
아군 출사표에서 이득실현이 안되어, 나도 출사를 하여도 이득실현이 안되니 지랄한다. 모형을 말하려는데에 원수가 줄 내 이득에서는 내게는 출사표가 없었다.
引而去之,令敵半出而擊之,利.
인이거지,령적반출이격지,리,
포인한 채로 거병을 하니 되돌아오는 적에서 출사를 하면 격전을 해야 이득이라는 것이다.
隘形者,我先居之,必盈之以待敵.若敵先居之,盈而勿從,不盈而從之.
애형자,아선거지,필영지이대적,약적선거지,영이물종,부영이종지,
좁은 전쟁지라는 건 먼저 있어보니 채워진 상태에서 원수와의 대적을 하였는데, 만약에 원수가 먼저 있으면 채워지니까 추격을 멈춰야 하기에 채워지지 않은 채로 추격 또는 격추를 한다.
險形者,我先居之,必居高陽以待敵;若敵先居之,引而去之,勿從也.
험형자,아선거지,필거고양이대적 :약적선거지,인이거지,물종야,
험난한 전쟁지라는 건 나 먼저 있어보니 반드시 고양이와 승부를 보았다. 만약에 적이 먼저 있을시에는 포인한 채로 거병을 하고 추격하기를 멈춰라.
遠形者,勢均,難以挑戰,戰而不利.凡此六者,地之道也,將之至任,不可不察也.
원형자,세균,난이도전,전이불리,범차6자,지지도야,장지지임,불가불찰야,
멀어져가는 전쟁지는 병역이 균등해져가니까 전략이 안먹혀서 전쟁이 어려우니 이득실현이 안된다. 여기 6가지는 지형에 대한 이론이라서 장교가 위임을 내릴시에는 가능하지도 않아서 관찰을 안했다.
故兵有走者,有馳者,有陷者,有崩者,有亂者,有北者.凡此六者,非天之災,將之過也.
고병유주자,유치자,유함자,유붕자,유란자,유북자,범차6자,비천지재,장지과야,
옛 병력에서 선두주자가 있으니 기병, 복병, 항복병, 난동병, 배신병, 충신병이다. 이런 6가지 병력은 하늘이 내린 재난이 아니나 장교가 내린 허물이다.
夫勢均,以一擊十,
부세균,이일격십,
병역이 균등한 세력은 1시에10타를 말한다.
曰走.卒强吏弱,曰馳.吏强卒弱,曰陷.大吏怒而不服,遇敵[dui4]而自戰,將不知其能,
왈주,졸강리약,왈치,리강졸약,왈함,대리노이부복,우적대이자전,장부지기능,
기병은 병력은 강하고 공무는 약하고, 기갑은 공무가 강해서 병력이 약하고, 복병은 고위공무원이 화를 내어 복식을 안 갖춘채로 원수를 만나서 스스로 전쟁을 선포하니까 장교가 하는 기능을 모른다.
曰崩.將弱不嚴,敎道不明,吏卒無常,陳兵縱橫,
왈붕,장약부엄,교도부명,리졸무상,진병종횡,
붕괴를 말하면 장교가 약하여 엄식하지 않아서 교전하는 수칙에서는 명부가 아니라서 공무원과 졸병이 없다. 항상 사열하는 병력은 진열을 가로 세로로 갖춘다.
曰亂.將不能料敵,以少合衆,以弱擊强,兵無選鋒,
왈란,장부능요적,이소합중,이약격강,병무선봉,
전란을 말하면 장교가 원수에게 요격을 하지 않아서 분대가 소대로 모이려니 허약한 채로 강한 격전을 펼치니까 병력에서 선봉이 없다.
曰北.凡此六者,敗之道也,將之至任,不可不察也.
왈북,범차6자,패지도야,장지지임,부가불찰야,
도망자를 말할 것 같으면 6부류에 포함되니까 패하는 지론이다. 장교가 위임을 하려니까 가능하지도 않은데도 관찰을 안했다.
夫地形者,兵之助也.料敵制勝,計險厄遠近,上將之道也.
부지형자,병지조야,요적제승,계험액원근,상장지도야,
지형을 구성하는 동력은 병력에서 갖는 차이다. 제승방략 법으로 원수 요격하기를 생각해보니 계략이 험난하여서 액땜이 멀고 가까우니까 대통령이 하는 것이냐 장교가 하는 것이냐
知此而用戰者必勝;不知此而用戰者必敗.
지차이용전자필승 :부지차이용전자필패,
전쟁을 안다는 건 지계를 부려써도 이길 수도 있고, 지계가 아니라도 전쟁에서 쓰이는데 패할 수도 있다.
故戰道必勝,主曰無戰,必戰可也;戰道不勝,主曰必戰,無戰可也.
고전도필승,주왈무전,필전가야 ;전도부승,주왈필전,무전가야,
전쟁에서 이겼다는 옛 지론은 전쟁이 안 일어나서다. 싸우는 척인거지. 전쟁에서 승부가 아니라고 한다면 싸움은 있었는데 무전기전쟁이다.
故進不求名,退不避罪,惟人是保,而利合于主,國之寶也.
고진부구명,퇴부피죄,유인시보,이리합우주,국지보야,
진격하지도 않은데 구조하려는 옛 명심은 퇴각이 아니다. 죄에서 벗어났다. 사람들이 보물을 생각하더니 수익을 합치고서 주인님을 향하여 가니 수익이 보물이다.
視卒如▣兒,故可以與之赴深溪;視卒如愛子,故可與之俱死.厚而不能使,
시졸여혐아,고가이여지부심계 :시졸여애자,고가여지구사,후이부능사,
쫄병이 꿈틀거리는 신규부대 보기를 농후하다고 취급하기에는 부심이 하는 판결문이 깨끗하다. 사람 사랑하기를 졸병으로 볼 것 같다면 시체 조각이 덩실 덩실 떠다니는 것 같아서 시체 싸매기를 사신이 잘 하여도 시키지를 못한다.
愛而不能令,亂而不能治,譬若驕子,不可用也.
애이부능령,란이부능치,비약교자,불가용야,
사랑도 끊겨진 부통령이 난동진압작전을 치욕으로 간주하니까 비유인거다. 만약에 교만하거든 가용이 안 된다.
知吾卒之可以擊,而不知敵之不可擊,勝之半也;知敵之可擊,而不知吾卒之不可以擊,
지오졸지가이격,이불지적지불가격,승지반야 :지적지가격,이부지오졸지불가이격,
내 졸작을 알아서 격전을 할 정도면 내 졸작도 모른 채 격전을 하지 않을 것이라면 승부에서 승리가 털린다. 원수를 아는만큼 가격할 것이라면 내 졸작도 모른 채 원수 가격하기를 안할 것 이라면
勝之半也;知敵之可擊,知吾卒之可以擊,而不知地形之不可以戰,勝之半也.
승지반야 :지적지가격,지오졸지가이격,이부지지형지불가이전,승지반야,
승리에서 반이 붙었다. 원수를 아는 만큼 가격하기는 내 부대 병력안다는 만큼 가격을 한다는 것이니 이에 전쟁지를 대충 간을 보다가 불가침을 맺으려니까 승부에서 반틈이 지났다.
故知兵者,動而不迷,▣而不窮.故曰:知己知彼,勝乃不殆;知天知地,勝乃可全.
고지병자,동이부미,병이부궁,고왈 :지기지피,승내부태 :지천지지,승내가전,
병무를 알아서 동태로 의심이 소멸하니까 병권장악도 궁핍에 빠진다. 옛 부터는 자신을 알아서 목표로 향한다는 것은 승부에서 승자독식에 게으르지 않았으니 하늘을 알고 전쟁지를 안다는 것은 승부에서 완승하려는 욕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