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연습 이어서 계속하기 거성부분 甑增又揯韻 증甑=증曾+와瓦. 증增=토土+증曾는 우긍운이다. 증甑이다. 증甑은 붙여놓으면 시루, 풀어놓은건 일찍인 기와. 강희자전과 한전을 보았다. 《唐韵》《集韵》《韵会》《正韵》𠀤子孕切,增去声。《说文》甗也。《广韵》古史考曰:黄帝始作甑.. 동국정운 2019.07.03
한자 연습 이어서 계속하기 憎噌䎖罾曾又本韻 이번에도 본운이다. 최세진이 작성한 본운을 보았다. 脣輕聲非敷二母之字,本韻及蒙古韻混而一之。且中國時音亦無別,今以敷歸非。 순경성비부이모지자, 본운급몽고운혼이일지。차중국시음역무별, 금이부귀비。 위에서 해온 걸 인용해왔다. 순경.. 동국정운 2019.07.01
한자 연습 이어서 계속하기 증曾=왈曰+사四+팔八. 2중 결합한 글자다. 증曾은 왈曰+사四+팔八 또는 팔八+사四+왈曰 사이로 분석을 하겠는데 위에서 구멍 뚫기 해야 하는 건지 밑 글자 빼기를 해야 하는 건지. 난감하다. 증曾=왈曰+전田+팔八일 수도 있다. 완성 글자는 증曾이지만 분석 글자가 왈曰+사.. 동국정운 2019.06.27
한자 연습 이어서 계속하기 증罾=망罒+증曾. 난감하다. 풀어보니 그물은 일찍이. 합쳐보면 어망 증이다. 풀어본 대로 그물을 일찍 제작하는 단계라는 것인지 증罾에는 사絲 흔적이 없으니까 통발, 어망에 사용하는 결도 아닌 데 그물이요 통발이요 어망이요 하는데 납득이 가겠냐구요. 바이두에 검.. 동국정운 2019.06.26
한자 연습 第二 南解王 제이 남해왕 南解居西干 亦云次次雄 是尊長之稱 唯此王稱之 父赫居世 母閼英夫人 남해거서간 역운차차웅 시존장지칭 유차왕칭지 부혁거세 모알영부인 남해거서간은 또 차차웅이기도 하다. 차차웅은 장사 지내는 구칭이니 차왕이라도 구칭하면 거서간이다. 아빠는 혁거세 .. 을유문화사편 삼국유사 권1 기이제1 2019.06.14
한자 연습 卞韓 百濟(亦云南扶餘卽泗沘城也) 변한 백제(역운남부여즉사비성야) 변한 백제(남부여는 사비성에 붙었다) 新羅始祖赫居世卽位十九年壬午 卞韓人以國來降 신라시조혁거세즉위십구년임오 변한인이국래항 신라 시작하신 혁거세가 즉위한 지 19년은 임오년이다. 변한인이 나라로 오더니 .. 을유문화사편 삼국유사 권1 기이제1 2019.06.12
한자 연습 11. 敬齋箴圖 11. 경재잠도 11. 잠자는 순서를 공경해보기. 正其衣冠。尊其瞻視。潛心以居。對越上帝。足容必重。手容必恭。擇地而蹈。折旋蟻封。出門如賓。承事如祭。戰戰兢兢。 정기의관。존기첨시。잠심이거。대월상제。족용필중。수용필공。택지이도。절선의봉。출문여빈。승.. 성학십도 규장각 소재본 2019.06.07
한자 연습 2. 진성학십도 차 進聖學十圖 箚 判中樞府事臣李滉。謹再拜上言。臣竊伏以道無形象。天無言語。自河洛圖書之出。聖人因作卦爻。而道始見於天下矣。 판중추부사신이황。근재배상언。신절복이도무형상。천무언어。자하낙도서지출。성인인작괘효。이도시견어천하의。 공무원 직급.. 성학십도 규장각 소재본 2019.05.12
한자 연습 《孫子兵法》地形篇第十 손자병법 지형편 제10 地形篇 지형편 孫子曰:地形有通者,有▣者,有支者,有隘者,有險者,有遠者. 손자왈 :지형유통자,유공자,유지자,유애자,유험자,유원자, 손자가 말한다. 지형을 관통하는 자에서는 공적이 있거나 구역을 지탱하거나 좁은 채 .. 손자병법 2019.05.04
한자 연습 《孫子兵法》行軍篇第九 손자병법 행군편 제9 行軍篇 행군편 孫子曰:凡處軍,相敵,絶山依谷,視生處高,戰隆無登,此處山之軍也. 손자왈 : 범처군,상적,절산의곡,시생처고,전륭무등,차처산지군야, 손자가 말한다. 모든 군대가 있기로는 대적보기니 산이 끊겨서 골짜기에 .. 손자병법 2019.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