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연습 《孫子兵法》作戰篇第二 손자병법 작전편 2다 作戰篇 작전편 孫子曰:凡用兵之法,馳車千駟,革車千乘,帶甲十萬,千里饋糧,則內外之費, 賓客之用,膠漆之材,車甲之奉,日費千金,然后十萬之師▣矣. 손자왈: 범용병지법,치거천사,혁거천승,대갑십만,천리궤량,칙내외.. 손자병법 2019.03.29
한자 연습 손자병법 시작합니다. 《孫子兵法》 손자병법 : 손자가 써내는 언병술. 《孫子兵法》計篇第一 손자병법. 계편은 제1이다. 計篇계편 孫子曰:兵者,國之大事,死生之地,存亡之道,不可不察也. 손자왈 : 병자, 국지대사, 사생지지, 존망지도, 불가불찰야 손자가 말한다. 언병이란 나라.. 손자병법 2019.03.29
한자 연습 𥠇上同又穀韻/𥠇은 상동上同우곡운又穀韻 𥠇은 설문해자 주석과 강희자전에서 설명하길래 설문해자에서 소개하는 것을 인용해 보았다. 강희자전에서 전하는건 𥠇이요. 설문해자에서 전하는 건穆이다. (穆)禾也。葢禾有名穆者也。凡經傳所用穆字。皆叚穆爲㣎。 (.. 동국정운 2019.03.28
한자 연습 시작해보기 墨上同又本韻/묵墨은 상동上同우본운又本韻 앞 서 본 묵을 가져왔다. 墨又本韻/// 묵墨은 우본운又本韻 글자도 같고, 주석도 같고, 소리도 같고, 다를게 있다면 상동上同이다. 상동上同이 있으면 이제 볼 묵이고, 상동上同이 없으면 앞에서 보던 묵이다. 묵에서 하나가 거짓이.. 동국정운 2019.03.28
한자 연습 969b08║ 根本藥事卷第十 근본약사 10권이다. 969b09║分析(上府文反切韻割也賦也與也考聲分遍也說文云別也從八從刀分割之形下先戚反爾雅曰析木之 969b10║ 間漢津也說文破木也從斤斤可以破木會意字) 분석分析. 부문府文을 반절하고 절운切韻에서는 할割야 부賦야 여與다. 들리기로.. 속일체경음의 2019.03.26
한자 연습 소설같은 묵도 있다 이어서 계속하기. 嚜上同/// 묵嚜은 상동上同 묵嚜은 구口+묵墨이다. 묵嚜은 거짓이라는데 상동上同에서 거짓이라는 건가. 이래서 묵嚜은 구口+묵墨을 본다. 묵嚜 주해에는 거짓, 거짓말, 불만스러운 모양을 가진다. 구口+묵墨 단계를 거쳐서 생겨난 묵嚜인 것에서 자.. 동국정운 2019.03.25
한자 연습 상동이 갖는 의미 정체에 확신을 안겨준 묵사발 사랑합니다. 이어서 계속하기 黙嘿上同/// 묵묵黙嘿은 상동上同 묵묵黙嘿이다. 묵을 나타내는 동국정운 대표자가 나타나지 않아서 대표자를 수색해본다. 묵이다. 묵墨으로 동국정운 대표자로 선발하였다. 선발을 한 건 묵墨글자로 본뜨기.. 동국정운 2019.03.25
한자 연습 묵묵해지니까 표현이 늘어나는 건 어떤 이유인가. 먹먹이라고 표현해야 하나 墨又本韻/// 묵墨은 우본운又本韻이다. 묵墨=흑黑+토土다. 묵墨이 우본운又本韻이라 하여서 본운本韻이 갖는 정체를 보다가 최세진이 작성한 사성통고에서 본운 항목을 보았다. 脣輕聲非敷二母之字,本韻及蒙.. 동국정운 2019.03.24
한자 연습 잠시 멈추다가 이어서하기 ·去 懜又揯韻公韻二拱貢韻 瞢上同又本韻揯韻二公貢韻 瞢又本韻揯韻二公貢韻 懜瞢瞢 3글자다. 몽懜은 又揯韻公韻二拱貢韻로 긍운, 공운, 이공공운이다. 몽瞢은 上同又本韻揯韻二公貢韻로 상동+ 본운, 긍운, 이공공운이다. 本韻揯韻二公貢韻로 본운, 긍운, .. 동국정운 2019.03.23
한자 연습 969a04║薜舍(亦梵語也薜毘桂反或云吠舍此云[商/貝]主雖有大福多有珍財不能通達典墳貨遷蓄積或賜封邑多爲長者 969a05║ 榮鎭國界以救貧乏) 벽사薜舍. 역범어亦梵語다. 벽薜은 비계毘桂를 반절하고 폐吠다 하다. 사舍는 주主인 수유雖有에는 대복다유大福多有한 채 진재珍財로이 불능.. 속일체경음의 2019.03.22